성장과정(dev)
-
Spring boot 프로젝트 생성, Spring 사이트 이용하기성장과정(dev)/Spring + Java + JPA 2020. 8. 19. 17:31
Spring site를 이용하는 경우 여러가지 중 가장 중요한 두가지를 쓰려고 한다. 지금까지 개발하면서 spring.io라는 사이트는 tool을 받을 때 빼고는 이용하지 않았었는데, 그래서 쓰던 기능만 쓰게 되었던 것 아닐까 싶다. Spring은 기능이 너무나도 다양해서 다 기억할 수 없기에 새로운 기능을 이용할때는 정식 메뉴얼을 이용해야한다. **** 스프링 사이트 이용하는 이유 **** 첫째, 프로젝트 생성 시 이용 둘째, 기능 구현 시 docs 참고용(메뉴얼검색) ====================================================== 프로젝트 생성 시 사이트를 이용하는 방법이다. 우선 start.spring.io에 접속한다. 이전에는 개발툴 (eclipse, intell..
-
spring boot jpa hibernate ddl로 인한 오류해결 !성장과정(dev)/Spring + Java + JPA 2020. 5. 22. 11:29
could not execute statement; nested exception is org.hibernate.exception. org.springframework.orm.jpa.JpaSystemException: could not execute statement; nested exception is org.hibernate.exception.GenericJDBCException: could not execute statement ... java.sql.SQLException: Incorrect string value: '\xED\x85\x8C\xEC\x8A\xA4...' for column 'content' at row 1 원래같아서는 이런 오류가 나면 당연히 인코딩 문제겠거니 하는데 jpa로 처음..
-
개발환경) gradle, intelliJ, spring-boot, microservice-architecture / js 절대경로 설정하기성장과정(dev)/Spring + Java + JPA 2020. 5. 20. 00:44
이전에는 실무에서 일정에 시달려 늘 그냥 돌아가면 돌아가는대로 개발해왔었는데 요즘 OJT 하면서 참 얻는게 많다 이런 사소한 것도 몰랐다는게 창피하지만 평생 기억하기 위해 메모! spring-boot에서는 resources 폴더 아래 application.properties 또는 application.yml 을 추가하여 환경설정이 가능하다. yml이 대다수이고, 가독성이 좋다고 하기에 yml로 선택. 처음엔 prefix 등의 서블릿관련 설정해주던 것을 어디서 설정하나 싶어서 막막했다. 별개 다 막막.. 근데 신기하게도 resources 폴더 아래에 yml 파일을 추가하면 자동으로 그 yml 내용을 읽어서 설정된다. yml에서 view resolver (뿐만 아니라 DB, 실행포트 등 대부분의) 설정이 가..
-
스프링 부트와 AWS로 혼자 구현하는 웹서비스 책을 읽으며 lombok, intelliJ, gradle build 시작성장과정(dev)/Spring + Java + JPA 2020. 5. 15. 14:24
개발을 2년 넘도록 했는데 intelliJ도 안써봤고, lombok 하나를 몰랐다니.. eclipse에서는 설치하는데 좀 복잡하지만 intelliJ에서는 아주 쉽게 사용할 수 있다.. 해서 있는대로 따라해보았다. lombok 설치도 하고 "Lombok Required Annotation Processing" 이라는 문구가 떠서 체크도 했는데 그 다음 예제( lombok 사용하기 예제 )를 만들어 run 하니 정상실행이 안되는것이다. 참고로 예제에서는 dto를 생성하는데 final로 변수들을 정의한다. lombok에서 제공하는 @RequiredArgsConstructor 어노테이션은 모든 final 필드가 포함된 생성자를 생성해주는 역할이라고 한다. 즉, 이 annotation을 적용했는데 final변수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