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
-
RDB 성능 높이는 법, 데이터베이스 튜닝 (feat. 비정규화 전에 고려할 것)독서/전공서적(dev) 2024. 12. 5. 12:57
책을 읽으며 추가 검색 하여 정리하였습니다. 성능문제 발생 시, 비정규화 하기 전에 다른 방법으로 해결할 수 있나 확인하는 것이 먼저다.첫째, 파티션. 둘째, 클러스터링. 셋째 IOT 에 대해 설명한다. 1. 파티션>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쿼리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테이블이나 인덱스를 여러 파티션으로 나누는 기능> DBMS가 파티션별로 병렬 처리를 수행 가능> 파티션별로 저장소(Storage), 압축, 인덱스를 개별적으로 설정 가능.> 참고로, 실무에서 사용 경험이 별로 없었는데, 그 이유는 보통 쿼리 성능이슈 발생 시 튜닝 업무를 하는데, 보통 작업환경은 MySQL이었다. MySQL 에서는 기존 테이블에 파티션을 추가할 수 없으므로 새로운 파티션 테이블로 데이터를 이관해야하기 때문이었다. * ..
-
<김기창의 데이터 모델링 강의> 4장 모델링의 꽃, 정규화독서/전공서적(dev) 2024. 9. 3. 16:09
정규화의 순기능- 중복데이터 제거- 모델 확장성- 저장공간 사용 최소화- 모델 관리 수월 함수종속?- 데이터 종속성. 한 속성의 값(결정자)을 알면 다른 속성의 값(종속자)이 저절로 결정되는, 두 속성 간의 일종의 제약.- 결정자 역할을 속성과 종속자역할 속성이 하나의 엔티티에 존재.- 데이터 모델링의 종속성 중 가장 중요.- ex) 이름, 휴대전번, 주소는 유일하게 식별할 수 있는 속성이 아니다. 주민등록번호 속성이 결정자.- 결정자라고 생각한 속성 값에 대한 종속자 속성 값이 두개 이상이 존재한다면 결정자를 잘못 선정한 것이다. 함수종속 이외에 종속 종류- 그밖에 종속성으로 이행종속 (transitive dependency), 다가종속(multivalued dependency), 조인종속(join d..
-
<김기창의 데이터 모델링 강의>(1장~3장) 내용을 기억하기 위한 글독서/전공서적(dev) 2024. 8. 31. 15:44
매타드란? 저자가 전달한 의미에 내가 어떻게 받아들였는지 또는 머릿속에 스치는 나만의 예제를 반영.에서 사용하는 meta word 의 줄임말 메타드를 저만의 단어로 사용합니다.기본개념. 저자가 많이 사용하는 단어실체엔티티란?관계가 속성이다? (속성은 컬럼을 뜻함.)집합개념?실체엔티티 중요한 이유: 모델 구조적으로 최상위에 존재하기 때문.도서관에 존재하는 '책'은 실체지만 '도서'는 실체가 아니다. 왜냐? 책이 몇만권이 발행되었든 상관없이 도서정보는 하나이다.예제로 나오는 상품 엔티티가 모두 실체 엔티티는 아니라는 것. 실체를 의미할 때도 있고, 실체를 나타내는 기본 정보를 의미할 때도 있다.실체라고 생각하는 것은 실체를 나타내는 개념이나 역할을 의미할 수도 있다. (고객이자 사원 역할을 하는 것처럼. -..